스쿠류바(7)
-
각 연차별 하자담보책임기간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아파트 하자담보 책임 기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하자담보책임기간이 뭔지 알아야겠죠? 우리가 전자제품을 사면 A/S기간이 있잖아요? 그 기간동안에 발생한 결함에 대해서 제조사가 무료로 수리해주는 기간!! 아파트도 마찬가지로 무료로 수리해주는 A/S기간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 것이 아파트 하자담보책임기간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전자제품의 경우에는 A/S기간이 1년~2년! 이렇게 딱 정해져 있잖아요? 아파트는 2~10년까지 각 공종별로 기간이 나누어져 있답니다. 이것이 무슨소리냐면 타일은 A/S 기간이 2년, 지붕은 3년... 이런식으로 다 나누어져있어요. 그래서 우리가 이 기간을 알아야 A/S 기간이 끝나기 전에 어떤 하자를 먼저 보수요청을 해야하는지 알게될거예요. ..
2020.03.11 -
하자판정기준 집중분석 (제2장 제17조 욕실 문턱 및 거울변색)
1편에서는 국토교통부 '공동주택 하자의 조사, 보수비용 산정 및 하자판정기준'의 제2장 제7장 콘크리트 균열에서부터 제16조 주방 싱크대 하부 및 배면 마감에 대해서 이야기했었습니다. 이번에는 그 뒤인 제17조 욕실 문턱 및 거울변색 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욕실문턱이 낮아 문을 닫을때 욕실화가 걸리는 경우가 많이 있어 불편한 상황을 겪어보셨을 겁니다. 그럼 욕실화걸림이 하자인가? 아닙니다. 단순히 욕실화가 걸리는 것만으로 하자를 정하는 것이 아니고, 설계도면대로 지어졌는지, 설계도면보다 부족하게 지어졌는지가 하자 판정의 기준이 됩니다. 그럼 위의 하자판정기준을 보고 우리집의 욕실 턱이 하자인가 아닌가를 어떻게 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예전에는 도면에 화장실과 거실과의 단차이나 문턱 높이가 자세하게 표기되어..
2020.03.11 -
하자판정기준 집중분석 (제2장 제7조~제16조)
안녕하세요. 신축아파트에 입주하시는 분들은 많은 재산을 쓴 만큼 기대감도 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기대가 큰만큼 입주자 사전점검 때나 입주하고 나서 보이는 하자들에 화가 날 수도 있는데요. 벽에 구멍이 뚫렸거나 문이 떨어졌거나 물이 줄줄 새는... 누가 봐도 명백한 하자는 하자접수를 하면되는데요. 이게 하자인지 아닌 지 애매한 것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국토교통부에서 '공동주택 하자의 조사, 보수비용 산정 및 하자판정기준'이라는 기준을 만들었죠. 어차피 우리는 하자의 조사, 보수비용 산정은 필요없으니 위의 기준에서 '제2장 하자의 여부 판정' 항목만 보시죠 등등등.... 많이 있습니다. 이것만 보고서는 잘 모를 수가 있으니 하나 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7조와 8조는 '콘크리트에 균열이나 철근노출이..
2020.03.08 -
양변기 물내림 수압이 약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양변기 수압이 약해서 불편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 이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변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기에 물이 고여있다가 레버를 내려 물이 차면 물이 내려갑니다. 이는 사이펀의 원리때문인데요. 사이펀은 옮기기 힘든 액체를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해 쉽게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형 관을 말하는 것입니다. 뭐 우리는 과학을 알고 싶은게 아니니까 상세한 설명은 넘어가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변기는 항상 파란선의 높이까지 물이 차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레버를 내리면 변기 뒤의 물통에서 물이 내려와 빨간선 위 까지 물이 찹니다. 그러면 사이펀의 원리 때문에 물이 내려가게 되죠. 암튼 빨간선 위까지만 물이 차면 된다는 말이죠. 이제 변기 수압이 약..
2020.03.06 -
아파트 대피공간 하자
오늘은 아파트 대피공간 하자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뭐 살면서 불편하거나 눈을 크게 뜨고 찾아봐야 하는 그런 하자는 아닙니다. 그렇지만, 이걸로 꼬투리를 잡게 되면 건설사와 하자종결 합의를 하거나 하자 소송등을 할때 아주 크게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이란 것만 알아두세요. 대피공간이 왜 있는 것일까요? 대피공간은 집에 불이나면 소방차가 올 때까지 대피하는 공간입니다. 따라서 대피공간은 불연재료로만 되어 있어야하며 적법한 크기의 창문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성인 2명이 대피공간에 들어가서 꽉 낀상태로 움직일 수 없다? 창문을 열 수도 창문으로 나가려고 움직일 수 없다? 이러면 대피공간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건축법상 2미터 제곱이상의 면적을 확보하라고 해놓았기에 대피공간이 있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 ..
2020.02.24 -
우리 집에 곰팡이, 결로가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말 어려운 주제인 아파트 전용공간에 생기는 결로에 대해서 정보를 드리려합니다. 결로하자는 하자냐 아니냐를 가지고 건설사와 맨날 싸우게 되는 주제인데요. 우리 입주자들의 유리한 협상을 위해 오늘 한번 파헤쳐보겠습니다. 그럼 결로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아주 아주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공기는 따뜻할 수록 물을 많이 가지고 있고 싶어합니다. 반대로 차가울 수록 가지고 있던 물을 버리고 싶어하죠. 안타깝게도 공기는 열에너지의 특성때문에 따뜻한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이동을 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물을 많이 가지고 있는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세탁실 벽체나 천장, 베란다 벽체나 천장, 단열불량시공된 벽체 등으로 달려가 붙어버리는 것이죠. 문제는 차가운 곳에 공기가 붙으면서 온도가 낮아져 가지고 ..
2020.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