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6. 07:46ㆍ아파트 하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양변기 수압이 약해서 불편해 하시는 분들이 많아 이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변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변기에 물이 고여있다가 레버를 내려 물이 차면 물이 내려갑니다. 이는 사이펀의 원리때문인데요. 사이펀은 옮기기 힘든 액체를 기압차와 중력을 이용해 쉽게 다른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연통형 관을 말하는 것입니다. 뭐 우리는 과학을 알고 싶은게 아니니까 상세한 설명은 넘어가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변기는 항상 파란선의 높이까지 물이 차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레버를 내리면 변기 뒤의 물통에서 물이 내려와 빨간선 위 까지 물이 찹니다. 그러면 사이펀의 원리 때문에 물이 내려가게 되죠. 암튼 빨간선 위까지만 물이 차면 된다는 말이죠. 이제 변기 수압이 약한 경우를 살펴보시죠.
변기 수압이 약한 경우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1. 물은 잘 내려가는데 나오는 물의 양이 너무 적게 느껴진다.
2. 나오는 물의 양은 적당한 것 같은데 구멍으로 물이 잘 안내려가는 느낌이다.
1번의 경우 물은 잘내려가는데 나오는 물이 적어서 레버를 두번씩 눌러 해결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옛날에 지어진 아파트들은 이런 일이 거의 없었어요. 오히려 양변기에서 물이 너무 많이 나와서 수도세가 올라갈 것을 우려해서 양변기 뒤의 물통에 벽돌을 하나씩 넣는 분들도 계셨죠. 사실 요즘 아파트의 변기는 절수형 변기입니다. 그래서 물통에 차는 물의 양이 적어요. 그렇지만 물통의 물의 양을 우리가 조절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입주자들이 이런 사실을 몰라 물이 너무 적게 내려와서 레버를 두번씩 누르시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조절하는지 한번 살펴보시죠.
물통 뚜껑을 열어보시면 위와 같을 겁니다.(오래된 변기는 달라요.) 좌측 상단에 빨간색 뭔가가 붙어있는 장치가 보이시죠? 바로 저게 물통 속의 물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저 빨간 버튼을 위로 올려줍니다. 공간도 좁고 뻑뻑해서 잘 잘 안올라갈 수도 있는데 쎄게 올리면 올라갑니다. 그 상태에서 바로 밑의 하얀 박스가 위로 올라가도록 주욱 당겨줍니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시겠으면 제가 동영상을 하나 올려드릴테니 한번 보시면 바로 이해가 가능할 거예요. 동영상 속에서는 제가 하얀 박스를 주욱 내렸다가 다시 올리는데, 박스를 내리면 수위가 낮아지고, 올리면 수위가 올라갑니다. 수위가 올라간다는 것은 물통 속의 물이 많아진다는 것이죠. 변기에서 내려오는 물이 너무 적게 느껴지시는 분들은 하얀 박스를 위로 올리셔서 사용 하시면 됩니다. 박스를 다 올리면 다시 빨간 버튼을 눌러서 고정 시켜주세요.
그러면 변기 수압이 약한 경우 중 첫번째는 해결이 되실겁니다.
그러면 2번 나오는 물의 양은 적당한 것 같은데 구멍으로 물이 잘 안내려가는 느낌이다. 인 경우입니다.
사실 이부분은 변기자체의 문제보다는 물이 빠져나가는 배관에 문제가 있는 가능성이 큽니다. 우리가 직접 할 수 있는 거라고는 뚫어뻥을 사용 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뚫어뻥을 사용했는데도 문제 해결이 안될 경우 신축아파트에서 이런 경우가 생기면 하자접수를 하셔서 배관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다가 잘못해서 배관안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그럴 가능 성이 커요. 하자접수를 해서 고쳐주시는 분이 와서 우리집 안의 배관에는 문제가 없다고 그냥 가려고 하시거든 개별세대의 변기 배관이 나가서 합쳐지는 '공용배관'을 점검해 달라고 하세요. 저도 겪은 경험인데.. 윗집에서 물티슈를 계속 변기에 버려서 공용배관과 개별 세대에서 나오는 배관이 합쳐지는 곳에 물티슈가 쌓여 변기가 말힌 경우를 보았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공용배관을 잘라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배관을 이어 붙이는 방법으로 해결을 해야하므로.. 우리집에 문제가 없으면 꼭 공용배관 점검을 한번 해달라고 하세요.
오늘은 변기 수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파트 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자판정기준 집중분석 (제2장 제17조 욕실 문턱 및 거울변색) (0) | 2020.03.11 |
---|---|
하자판정기준 집중분석 (제2장 제7조~제16조) (3) | 2020.03.08 |
아파트 대피공간 하자 (1) | 2020.02.24 |
우리 집에 곰팡이, 결로가 생겼어요.. (1) | 2020.02.21 |
화장실 타일이 갈라졌어요. (3) | 2020.02.20 |